청랑 국어 식견/청랑 문해 교육

트럼프 대통령 관세정책 인플레이션 ‘초래하다’, ‘발생하다’?

JWS 2025. 4. 21. 09:00
728x90

청랑의 어휘력 높이기오늘은 ‘초래하다’와 ‘발생하다’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어 정의와 차이점

‘초래하다’와 ‘발생하다’는 모두 어떤 일이 생기는 것을 나타내는 말이지만, 쓰임의 관점과 문장의 구조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 ‘초래하다’는 어떤 원인이나 행동이 결과를 불러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발생하다’는 사건이나 현상이 저절로 일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실제 예시

  • 초래하다:“과도한 스트레스는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 특정 원인에 의해 문제가 생긴 상황입니다.

  • 발생하다:“지하철 고장으로 인해 전동차 지연이 발생했다.”
    → 상황이나 현상이 일어난 것을 설명합니다.

어휘 활용 팁

‘초래하다’는 주어가 원인 제공자이며, 목적어로 부정적인 결과가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발생하다’는 사건 자체가 주어가 되어 쓰이며, 원인을 직접 언급하지 않아도 됩니다.

  • 초래하다 → 어떤 행동이 어떤 결과를 불러오는 구조
  • 발생하다 → 사건이나 문제가 저절로 일어난다는 구조

기억하기 쉬운 방법으로,‘초래하다’는 원인을 만들어 결과를 ‘불러온다’, ‘발생하다’는 스스로 ‘생긴다’라고 생각해 보세요.

다른 비교 어휘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헷갈리는 우리말 : 러시아 이번에 폴란드 ‘침공하다’, ‘침략하다’?

청랑의 어휘력 높이기 : 오늘은 ‘침공하다’와 ‘침략하다’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단어 정의와 차이점‘침공하다’와 ‘침략하다’는 모두 다른 나라의 땅이나 영역을 무력으로

jwsbook.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