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랑 국어 식견/청랑 한자 공부

한자 부수 스토리 : '또 우(又)', '입 구(口)'

by JadeWolveS 2025. 3. 15.


한자 부수의 유래

 

한자 ‘又(또 우)’는 고대 자형을 살펴보면 오른손(또는 손의 동작)을 본떠 만든 상형글자로 해석됩니다.

초기에는 실제로 “손”을 뜻하였으나, 나중에 ‘되풀이하다’, ‘또’ 등의 의미로도 확장되었습니다. 

𠂇(오른손 우)  + 又(오른손 우)가 결합하여 서로 손을 맞잡는다하여 友(벗 우)



한자 부수의 유래

 

한자 ‘口(입 구)’는 갑골을 보면, 사람의 입 모양을 단순화해 작은 사각형으로 나타냈습니다.

시간이 흐르며 현대의 ‘口’ 자형에 이르렀으며, 여전히 입의 틀을 닮은 사각형이 기본 형태입니다.

口(입 구) + 申(펼 신)이 합쳐저 입으로 길게 소리를 낸다하여  呻(신음할 신)

청랑의 추천하는 다른 한자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한자 부수 스토리 : '언덕 엄(厂)', '사사로울 사(厶)'

한자 부수의 유래 한자 ‘厂(언덕 엄)’은 본래 절벽이나 언덕의 가장자리를 옆에서 본 모습을 간략화한 상형문자로 해석됩니다. 갑골문을 살펴보면, 수직으로 깎아지른 지형을 단순화하여 표

jwsbook.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