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청랑 문해 교육42 비슷하지만 책임을 가르는 한 끗 차이를 나타내는 단어는? 청랑의 어휘력 높이기 : 오늘은 '도주'와 '도피'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단어 정의와 차이점‘도주’와 ‘도피’는 비슷한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의미와 쓰임새는 다릅니다.‘도주’는 법적 책임이나 처벌을 피하기 위해 사고 현장이나 범죄 현장에서 달아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교통사고를 낸 후 현장을 떠나는 행위는 도주로 간주됩니다. 이는 주로 형사 사건과 관련된 법적 용어로 사용됩니다.‘도피’는 현실적인 문제나 책임을 피하려고 일정한 장소를 떠나는 것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복잡한 일상을 벗어나기 위해 여행을 떠나는 것도 도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반드시 법적인 상황에 국한되지 않으며, 일상적인 맥락에서도 폭넓게 사용됩니다.두 단어는 모두 책임 회피와 관련이 있지만, 사용 범.. 2024. 12. 22. 탄핵소추안 가결로 대통령 권한이 '정지'된 걸까 '중지'된 걸까? 청랑의 어휘력 높이기 : 오늘은 '정지'와 '중지'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단어 정의와 차이점‘정지’와 ‘중지’는 비슷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지만, 실제 뜻과 용도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정지’는 어떤 움직임이나 활동이 완전히 멈추는 상태를 의미하며, 주로 공식적이고 지속적인 멈춤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차가 신호를 보고 정지하다"는 차량이 특정 신호에 따라 멈추는 상황을 뜻합니다.‘중지’는 진행 중이던 일이 일시적으로 멈추는 것을 의미합니다. "회의가 중지되었다"는 회의가 잠시 중단되었지만 나중에 다시 시작될 가능성을 내포합니다.이처럼 ‘정지’는 지속적이고 의무적인 멈춤을 나타내는 반면, ‘중지’는 일시적이고 선택적으로 중단하는 경우를 나타냅니다.실제 예시정지: "교통 법규 위반으로 .. 2024. 12. 15. 빠르게 진행했지만 부결된 대통령 탄핵 소추안, 아직 이른걸까? 청랑의 어휘력 높이기 : 오늘은 '이르다'와 '빠르다'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단어 정의와 차이점‘이르다’와 ‘빠르다’는 유사하게 보일 수 있지만, 쓰임새와 의미가 다릅니다.‘이르다’는 어떤 시점에 도달하거나 어떤 일을 하는 시점이 보통보다 앞선 상황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약속 시간에 이르다”는 약속 시간보다 일찍 도착했다는 뜻입니다. 또한, ‘이르다’는 어떤 상태나 결과에 도달하는 것을 표현하기도 합니다. 예: “결론에 이르다.”‘빠르다’는 동작, 속도, 또는 진행 과정에서 시간이 짧게 소요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차가 빠르다”는 자동차가 높은 속도로 이동하고 있다는 뜻이며, “시간이 빠르다”는 시간이 빠르게 지나간다는 의미입니다.따라서 ‘이르다’는 시간적 기준점에 초점을 .. 2024. 12. 8. 청룡영화상에서 입장 밝힌 정우성, 책임과 책임감의 차이는? 청랑의 어휘력 높이기 : 오늘은 '책임'과 '책임감'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단어 정의와 차이점‘책임’과 ‘책임감’은 비슷해 보이지만 의미와 사용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책임은 어떤 일이나 상황에 대해 반드시 져야 할 의무를 뜻합니다. 예를 들어, “이 일에 대한 책임은 내가 진다”처럼 구체적인 행동이나 결과를 의미합니다.책임감은 책임을 다하려는 마음가짐이나 태도를 가리킵니다. 이는 도덕적 의지나 내적 자세를 강조하며, “책임감 있는 사람은 신뢰를 얻는다”와 같이 사용됩니다.이처럼 ‘책임’은 외부적으로 드러나는 행동에 초점을 두고, ‘책임감’은 내적인 태도나 동기에 중점을 둡니다.실제 예시책임: “그는 프로젝트 실패에 대한 모든 책임을 졌다.” 이 문장에서 ‘책임’은 구체적인 의무를 뜻합니다.책임.. 2024. 12. 1. 동덕여대 시위 피해 복구비에 '붙이다'와 '부치다'를 어떻게 써야할까? 청랑의 어휘력 높이기 : 오늘은 '붙이다'와 '부치다'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단어 정의와 차이점‘붙이다’와 ‘부치다’는 발음이 비슷해 자주 혼동되지만, 서로 다른 의미와 쓰임새를 가진 단어입니다.‘붙이다’는 물체를 서로 이어 붙이거나 가까이 밀착시키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포스터를 벽에 붙이다”와 같이, 하나의 물체를 다른 물체에 접착시키는 행동을 나타냅니다. 또한, 불이나 이름 등을 새로 더하는 경우에도 사용됩니다.‘부치다’는 주로 편지를 보내거나 힘에 버거움을 느끼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편지를 부치다”는 편지를 보내는 행동을 의미하며, “힘에 부치다”는 어떤 일이 힘겨워 감당하기 어렵다는 뜻입니다.이처럼 두 단어는 상황과 맥락에 따라 적절히 구분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2024. 11. 24. 수능 스트레스, 감수할 것인가 감당할 것인가? 청랑의 어휘력 높이기 : 오늘은 '감수하다'와 '감당하다'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단어 정의와 차이점‘감수하다’는 어떤 어려움이나 고통을 참아내거나, 감내하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주로 ‘어려운 일이나 불편한 상황을 견디다’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예를 들어, “고통을 감수하다”처럼 어떤 불편함이나 괴로움을 견디는 경우에 적합합니다.‘감당하다’는 어떤 일이나 상황을 책임지고 처리하거나, 그것을 처리할 능력이 있을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즉, ‘어떤 일을 해결하거나 책임지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큰일을 감당하다”는 큰 일을 맡아 해결한다는 뜻입니다.이 두 단어는 비슷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그 의미는 확연히 다르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실제 예시감수하다 : “그는 어려운 상황을 묵묵히.. 2024. 11. 17. 이전 1 2 3 4 5 ···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