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청랑 이슈 식견237 명함의 변천사 자신의 이미지까지 알리는 수단기술 발전으로 현대인은 새로운 사람들을 만날 기회가 늘었다. 하지만 바쁜 일상을 살아가는 그들은 새로 만나는 사람들에게 자신을 소개할 시간이 부족했다. 그 대안으로 사람들은 자신을 간단히 소개하는 명함을 사용한다. 최근 명함은 자기 경력만 소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어떤 사람으로 보일지 생각하며 명함에 색깔, 문구, 디자인까지 신경 쓴다. 명함은 이제 자신을 알리는 데 그치지 않고 상대방에게 자신의 이미지를 각인하는 역할도 한다. 명함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역사를 알아보자.조선시대 명함 '세함'홍석모(洪錫謨)의 『동국사세기(東國歲時記)』에는 중앙 각 관청의 서리(書吏), 천예(賤隷)나 각 군영의 장교, 군졸들은 세수(歲首)에 현직 상급 관원이나 예전에 상급 관직에 있던 선생(先.. 2023. 1. 25. 단군신화에도 나오는 마늘 효과 고조선 단군신화에 나오는 마늘천제(天帝) 환인(桓因)의 아들 환웅(桓雄)이 태백산 신단수 아래로 무리 3,000명을 이끌고 내려와 신시(神市)를 세워 나라를 다스렸다. 사람이 되기를 원하는 곰과 호랑이에게 쑥과 마늘을 주면서 백 일 동안 햇빛을 보지 말고 동굴 속에서 생활하라고 하였다. 하지만 호랑이는 이 시련을 참지 못하여 나가고 곰은 스무하루를 견딘 끝에 웅녀가 되어 환웅과 결혼하여 단군을 낳았고, 그 단군은 고조선을 세웠다는 내용이 단군신화이다. 학창 시절 한국사를 배우면 한 번쯤은 접한 이야기겠지만 곰과 호랑이가 왜 쑥과 마늘을 먹었을지 궁금해한 적은 없을 것이다. 마늘은 고대 로마인들 사이에서 정화작용의 효능이 있다는 믿음이 있었다. 우리 선조들도 고대 로마인들처럼 마늘을 신성시한 것은 아닐까... 2023. 1. 24. 한국인의 매운맛 '고추'의 유입 역사 전 세계에 알려진 한국의 매운맛한국의 많은 음식은 고추를 써서 얼큰하고 매콤한 맛을 내고 있다. 한국 사람들은 언제부터 매운 고추 맛에 푹 빠졌을까? 전 세계에 널리 알려진 한국의 대표 음식인 김치가 처음 등장했던 시기는 임진왜란 이후 조선 후기로 보고 있다.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에는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 빨간색의 고추, 우리에게 친숙한 그 고추가 어떻게 한국 땅에 들어왔는지 살펴보자.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가져온 고추15세기 무렵 인도로 가는 해상 무역권을 아랍인이 장악하면서 인도의 후추를 독점하게 되었다. 그 결과 고기에 뿌려 먹는 향신료 후추는 금보다 비싸지게 되었다. 향신료를 찾는 유럽의 귀족들은 비용 감당이 어려워지자 인도로 가는 다른 항로를 찾아야만 했다. 스페인 이사벨 여왕의 후원을 받은 탐험.. 2023. 1. 23. 한국의 시대별 혼수 예단 스몰웨딩 바람이 부는 한국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어느 나라를 가도 결혼 비용을 대는 데 크게 부담스러워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결혼을 위해서는 신랑 신부 양가는 값비싼 혼수 및 예단과 집 확보 등에 허리가 휠 지경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사회생활을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신혼부부들 사이에서는 결혼식을 하지 않거나 비용을 아낄 수 있는 스몰웨딩을 점점 선호하는 추세다. 사랑하는 짝이 있어도 경제적 여건 때문에 결혼을 미루기도 하고 아예 결혼을 포기하는 젊은이들도 늘어나는 안타까운 현실에 처해 있다. 골칫거리가 된 혼수와 예단, 과거에는 어떻게 진행되었을까. 고구려 '사랑하는 마음'이 혼수동이열전(東夷列傳)을 보면 고구려 결혼 풍속은 남녀가 좋아하면 그로써 혼인이 성사된다. 신랑집에서 돼지고기와 술을 .. 2023. 1. 22. 조선시대의 수험생들 최고의 경쟁률 과거 시험조선의 미래를 책임질 인재를 뽑는 과거시험은 3년마다 치러졌다. 과거시험의 으뜸은 대과였다. 대과의 최종 합격자는 33명이었고, 이들은 고위직에 오를 가능성이 컸다. 조선 초기 인구는 600만 명. 양인들까지 시험 칠 권한이 주어졌기에 과거시험에 합격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합격률이 낮다 보니 합격자 중에 최고령자가 85세인 기록도 있다. 과거시험의 준비 과정부터 지방 출신과 빈부격차가 느껴졌던 당시 수험생들의 모습은 입시와 취업 준비에 바쁜 요즘 젊은 세대와 흡사하다. 과거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의 시대상을 살펴보자.자식 과거시험 준비에 부모 등골 휘어조선의 과거시험 대과의 합격률이 너무 낮았다. 그렇다 보니 양반 집안 자녀들은 7~8세부터 시험 준비에 들어가야 했다. 과거시험.. 2023. 1. 21. 사계절 법칙은 어떤 분야든 존재한다 사계절에 따른 인간의 삶사람의 삶은 사계절을 닮았다. 만물의 성장이 시작되는 봄은 사람이 태어나 따뜻한 보살핌으로 자라나는 시기에 해당한다. 뜨거운 태양에 가까워진 여름은 타오르는 열정으로 목표를 향해 쉼 없이 달려가는 시기다. 과실을 따는 가을은 목표 달성을 맛보는 달콤한 시기. 생명을 잃고 움츠러드는 겨울은 그동안에 이룬 결실을 소비하며 죽음을 기다리는 시기다. 사계절의 변화는 인간의 삶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적용해 볼 수 있지 않을까.후진국에서 선진국까지의 사계절1차 산업인 농업과 수산업에 종사하며 인구의 완만한 성장을 준비하는 단계인 후진국은 봄과 같다. 개발도상국은 곧 여름이며, 이때는 투자를 통한 산업의 성장을 뒷받침하고자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를 볼 수 있다. 가을의 단계인 선진국은 안정적인.. 2023. 1. 20.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