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랑 교육 식견

뛰어난 학생 선별법은 공자처럼<1부>

by JadeWolveS 2023. 1. 29.
728x90

사람 살피는데 공자도 실수했다

중국 춘추시대의 유학자 공자(孔子)에게는 담대 자우(澹臺子羽)와 재여(宰予)라는 제자가 있었다. 이들이 가르침을 받으러 왔을 때 담대 자우는 외모가 너무 형편없어 재주와 덕이 박할 것이라 짐작했고, 재여는 언변이 고상하고 세련되어 높이 평가했다. 그러나 공자는 “용모만 보고 자우한테 실수했고, 말씨만 보았다가 재여한테 실망했다(以容取人乎 失之子羽 以言取人乎 失之宰予)”라고 밝힌 바 있다. 사람 보는데 실수한 공자는 군자가 사람을 쓸 때 구분하는 법을 남겼다. 공자의 인재 구분법을 통해 요즘의 뛰어난 학생을 찾는데 적용해 보자.

[공자 출처:네이버이미지]

먼 곳에 심부름시켜 그 충성을 본다

먼 곳에 심부름을 보내면 몸이 힘들고 고단하며 자신에게 득 되는 일이 없으니 하기를 꺼리기에 충성심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게 공자의 생각. 훌륭한 학생들도 학습과 별개라 생각하는 습관이나 기본적인 틀을 잡는데 군소리 없이 실행하는 학생들은 참을성이 높은 편이다. 공부는 인내력과 끈기가 중요하다. 싫은 공부도 마다하지 않는 학생들이라면 장기적으로 분명 학업에서 큰 성과를 낼 것이다.

가까이 두고 써서 그 공경을 본다

공경하는 태도를 가진 사람은 다른 마음을 품는 경우가 드물다. 윗사람을 공경한다면 시키는 일도 응당 잘 처리한다. 요즘 학생들은 선생님을 공경하는 경우가 드물다. 물론 스승이 먼저 언행을 단정히 해서 제자가 본받고 싶은 마음을 가지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배움을 쫓는 학생이라면 스승을 존경하고 공경해야 한다. 학생이 그런 마음을 갖지 않는다면 숙제나 가르치는 부분에 대해 신뢰하지 못하고 의심하게 된다. 또 수업도 대충 건성으로 듣는다. 이런 불성실한 태도를 가진 학생에게서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가 없다.

번거로운 일을 시켜 그 재능을 본다

군자가 일을 시킬 때 재능이 있는 분야에 일을 시켜 그 쓰임을 알 수 있다.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새로운 공부법이나 본인이 싫어하는 공부법을 제안한 뒤 해보라고 시키면 불만을 터뜨리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 제안은 학생이 잘하는 점을 더 날카롭게 만들어주는 과정이 될 수 있다. 학생의 입맛에 맞는 공부법만 고집한다면 학습의 취약점을 고치지 못하는 고질병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 병이 나으려면 아픈 과정을 거치고 쓴 약을 먹어야 하듯이 자신의 약점을 고치려면 번거로운 학습 과정도 거쳐야 한다.

 

뜻밖의 질문을 던져 그 지혜를 본다

군자는 나랏일을 책 속에 있는 것처럼 처리할 수 없으니 응용하는 능력을 갖춘 인재를 가려야 했다. 책 내용만 달달 외운 학생에게 책 밖의 질문을 던지면 당혹스러워한다. 수업 내용과 연관이 없다고 생각되는 질문하는 선생님에게 학생들은 편견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선생님이 던지는 예상 밖의 질문 속에는 지금 배우는 수업과 깊은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예컨대 수학의 집합을 배우는데 국어 비문학의 구조를 공부하라고 하면 학생 관점에서는 당혹스러울 것이다. 수학의 집합 분야를 면면히 살펴보면 추론 관계를 설명하는 단원이다. 글을 수식으로 바꿔 상관관계를 연결하는데 그 과정이 이해가 잘되도록 돕는 게 국어 비문학 구조 잡기다. 앞서 배운 선생님은 자신이 배울 때 아쉬웠던 점들을 기억하고 있다. 제자들이 당장 불필요하고 시간만 낭비한다고 생각하겠지만 선생님은 연계되어 있어서 가치가 있는 학습을 하도록 일깨워 주려고 한다.

 

공자는 군주가 인재를 구분하는 법을 가르쳤다.
먼 곳에 심부름시켜 충성을 보고
뜻밖의 질문을 던져 지혜를 알아보는 등
사람의 됨됨이를 구분한 것이다.
이처럼 공자의 인재 구분법은
오늘날 뛰어난 학생을 찾는데도 적용할 수 있다.

 

훌륭한 스승의 교육법을 청랑이 추천합니다.
 

훌륭한 스승은 답을 주지 않는다

빠르게 답을 찾아주는 정보화시대 요즘 우리는 변화무쌍한 시대에 살고 있다.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궁금한 것이 있으면 검색을 통해 금방 답을 찾을 수 있다. 궁금증이 생기면 인터넷

jadewolves.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