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랑 사자소학 풀이: 雪裏求筍 (설리구순) 부수 스토리
한자 부수의 유래雨(비)가 내리는 모양에 ‘가루처럼 흩어짐’의 의미가 더해져, 비와 달리 흩날려 내리는 ‘눈’을 뜻합니다. 雪이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降雪降(강·내리다) + 雪(설·눈)강설, 눈이 내림積雪積(적·쌓다) + 雪(설·눈)적설, 눈이 쌓임한자 부수의 유래衣(옷, 겉)과 里(리·마을/속)을 합해 ‘옷의 안감, 물건의 속’이라는 뜻이 되었습니다. 裏가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裏面裏(리·속) + 面(면·면/쪽)이면, 속면表裏表(표·겉) + 裏(리·속)표리, 겉과 속한자 부수의 유래본래 ‘찾아 나선다’는 뜻을 그린 글자에서 발전했으며, 물(氺) 요소와의 결합으로 ‘구하다, 요구하다’의 의미가 굳었습니다. 求가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追求追(추·뒤쫓다) + 求(구·구하다)추구, 뒤따라 구함要求要(요·요구하..
2025. 1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