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원경' 역사 속에 잊힌 여자 여웅
드라마 '원경'이 방영되면서 원경왕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원경왕후는 조선의 왕 태종 이방원 아내이며 세종대왕의 어머니입니다. 그녀는 조선 건국 태조 이성계 다섯 번째 아들 이방원과 결혼하여 조선 왕조의 근간을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원경왕후는 이방원이 왕위에 오르기까지 여러 정치적 격동을 겪으며 생사를 함께 했습니다. 그녀는 이방원의 권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녀의 가문은 이방원의 정치적 기반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원경왕후는 남편이 왕이 된 후 첩을 들이는 문제로 대립합니다. 이후 원경왕후와 그녀의 오빠들이 정치 개입이 심해지자 이방원은 아들 세종 때 외척가문이 권력을 가지는 것을 막고자 아내의 오빠들과 장인을 죽입니다. 원경왕후는 여자문제와 집안을 몰살한 남편을 원망하며 1420년 쓸쓸히 생을 마감하였습니다. 두 사람은 처음에 부부로서 사랑하였으나 권력으로 인해 사랑의 갈등이 커지며 멀어지게 되었습니다. 원경왕후와 태종처럼 사랑하는 이와 정치적인 갈등으로 멀어졌던 여자 주인공들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상(태종)께서는 어찌하여 예전의 뜻을 잊으셨습니까? 제가 상과 더불어 함께 어려움을 지키고 같이 화란(禍亂)을 겪어 국가를 차지하였사온데, 이제 나를 잊음이 어찌 여기에 이르셨습니까? |
|
《태종실록》 3권, 태종 2년(1402년) 3월 7일 (경인)
|
남편의 폭력에 힘들었던 조피 도르테아
조피 도르테아는 프로이센 왕국의 왕비이자 프리드리히 대왕의 어머니입니다. 그녀는 프리드리히 빌헬름과 프로이센과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조피 도르테아의 고향) 사이의 동맹을 강화하기 위한 정략결혼의 희생양이 되었습니다. 그들의 결혼 생활은 행복하지 않았습니다. 프리드리히 빌헬름은 엄격하고 독재적인 성격으로 유명했으며, 종종 폭력적인 경향도 보였습니다. 남편의 폭력에 못이겨 조피 도르테아는 결혼 1년 만에 이혼을 결심합니다. 그런 와중에 첫째를 임신하게 됩니다. 이혼대신 아이를 지키기로 한 조피 도르테아는 결혼 생활 내내 본인 관심사에 남편에게 무시와 경멸을 당했습니다. 두 사람은 자녀교육에서도 뜻이 맞지 않아 큰 갈등을 빚었습니다. 특히 빌헬름 1세는 프리드리히 대왕(프리드리히 2세)에게 강한 집착을 보이며 유약한 아들을 몰아세우면 조피 도르테아는 아들 편에 서서 남편에게 맞섰습니다. 조피 도르테아는 자녀들과 강한 유대감을 가지고 있었고, 힘든 결혼 생활을 이겨내며 위대한 군주를 아들로 키워냈습니다. 남편 사후 조피 도르테아는 아들 프리드리히 대제의 존경과 사랑을 받으며 편안한 노후를 보냈습니다.
자식들의 죽음에 고통받았던 메리 토드 링컨
메리 토드 링컨(Mary Todd Lincoln)은 미국 역사상 최고라 불리는 링컨의 아내입니다. 메리는 부유한 가정에서 자랐습니다. 그녀는 1839년에 일리노이 주 스프링필드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아브라함 링컨을 만났습니다. 메리는 링컨의 초기 법률 경력과 정치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했습니다. 그사이 그들 사이에서는 네 명의 아들 태어났습니다. 불행히도 세 명을 잃었고, 이 일들은 그녀의 정신 건강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녀는 우울증과 극심한 슬픔에 시달렸으며, 링컨에게 히스테리를 부리거나 극심한 사치를 부렸고 부부 갈등 깊어졌습니다. 일례로 그녀는 백악관의 내부 장식을 현대화하는 데 큰 관심을 가졌으며, 상당한 비용을 들여 백악관을 개조했습니다. 이는 일부에서는 과도한 지출이라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링컨은 남북전쟁으로 공무가 바빴고,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는 아내를 돌보지 못했습니다. 메리 토드 링컨은 영부인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자식을 잃은 고통을 숨겨야 했고, 증세는 더 악화되었습니다. 링컨이 암살당하자 그녀는 더 큰 충격을 받았으며 정신 이상상태를 진단받아 정신병원에 입원하기도 했습니다. 미국의 작가, 데일 카네기는 "에이브러햄 링컨이 암살된 것은 그의 결혼에 비교하면 비극이라고 하기엔 부족하다 "라고까지 말했습니다.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글을 읽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
우씨 왕후처럼 형사취수제로 운명을 바꾼 인물은?
살아 남기 위한 우씨 왕후의 전략우씨 왕후(王后 于氏)는 두 번이나 고구려 왕후로 살았던 인물입니다. 한족 중심 유교문화에서는 동생이 형수를 아내로 맞이하는 것은 금기시하였습니다. 반면
jwsbook.com
'청랑 이슈 식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가스터디 한국사 강사, 전한길 논란 : 여러 사례로 살펴보는 재판 공정성 문제 (6) | 2025.02.04 |
---|---|
이국종 교수 모티브, 중증외상센터 : 로마 역사에서 찾은 필수의료 문제 해결책 (8) | 2025.02.02 |
권영세 선물 논란과 극우 유튜버 수익 : 허위 뉴스의 역사 (4) | 2025.01.25 |
연륜보다 젊은 리더쉽을 선택한 체육계의 미래를 보여주는 과거 사례는? (5) | 2025.01.17 |
LA 화재 사건 이전, 역사적으로 유사한 화재 사건은? (6) | 2025.0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