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랑 이슈 식견

추석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나요?

by JadeWolveS 2023. 9. 29.
반응형

 

한국의 큰 명절 추석

추석은 음력 팔월 보름을 일컫는 말로 가을의 한가운데 달이며 또한 팔월의 한가운데 날이라는 뜻을 지닌 명절이다. 추석(秋夕)을 글자대로 풀이하면 가을 저녁, 나아가서는 가을의 달빛이 가장 좋은 밤이라는 뜻이니 달이 유난히 밝은 좋은 명절이라는 의미가 있다. 절기상 추석은 농경 국가에서 한 해의 농사를 수확하는 중요한 행사로 여겨지며 현대까지 전통이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국가에서 연휴로 지정할 만큼 큰 행사인 추석의 기원이 된 두 국가의 풍습을 살펴보자.

 

신라 진흥왕 시기 영토

추석이 되면 화합을 도모하는 신라

신라는 한반도 남동쪽에 지금의 경상남북도에 자리한 국가였다. 중국의 『수서(隨書)』 「동이전(東夷傳)」 신라조(新羅條)에는 “8월 15일이면 왕이 풍류를 베풀고 관리들을 시켜 활을 쏘게 하여 잘 쏜 자에게는 상으로 말이나 포목을 준다."와 『구당서(舊唐書)』 「동이전(東夷傳)」 신라조(新羅條)에도 “해마다 정월 초하룻날이면 서로 하례하는 예식을 여는데 왕이 잔치를 베풀고 또 해와 달의 신에게 절을 한다. 팔월 보름이면 풍류를 베풀고 관리들을 시켜 활을 쏜 자에게는 상으로 포목을 준다.”라는 기록이 있다. 신라인들은 먹을 게 풍요로운 추석이 되면 잔치를 베풀어 화합을 도모하던 하나의 행사였던 듯하다. 왕이 직접 관리에게 포상하거나 백성들과 함께 즐겁게 놀았다고 하는 것을 보면 한 해 동안 농사로 수고한 백성들의 노고를 위로하고자 시작된 것이 아닐지 추측해 본다. 한국에서 언제부터 추석이 시작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고대 사서를 통해 추석에 신라인들은 어떻게 지냈는지 가늠해 볼 수 있다. 현대인들은 연휴가 길어지며 추석에 해외를 나가거나 가족들끼리 즐겁게 지내는데 고대 신라인들이 추석에 모여 풍류를 즐겼던 부분이 비슷한 듯하다.

 

고대 가야 영토

추석에 차례 지내는 문화로 계승된 가야의 풍습

가야는 삼국시대 한반도 남부 경상도와 전라도 사이에 존재하던 연맹 국가이다. 삼국유사에서 가야는 음력 8월 15일이 되면 "풍성하고 깨끗한 제물로(수로왕릉에) 제사를 지내, 이어 끊이지 않고 따랐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추석 날 가야에서 지내던 풍습은 오늘날 추석날 아침에 차례를 지내는 문화로 계승되어 이어지고 있다. 차례는 추석이나 설날 아침 간단하게 지내는 약식 제사를 일컫는 말이다. 가야인들은 자기 뿌리를 잊지 않고 한 해 농사를 지은 음식을 한자리에 모여 조상에게 받치며 감사하는 문화가 자리 잡으며 주변 국가들보다 빠르게 성장하는 발판이 되었다.

 

한국 추석의 기원을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고대 사서를 통해 신라와 가야에서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신라가 가야를 병합하고 삼국통일을 이뤄냈으며
고려 서경천도운동의 실패로
신라를 거점으로 힘을 키운 귀족들이 고려의 중심 세력으로 성장하여
추석은 현대에 이르러서 큰 명절로 자리 잡게 되었다.

 

 

명절과 관련된 글을 청랑이 추천합니다.
 

제사는 누구를 위한걸까?

제사의 시작, 언제부터? 제사(祭祀)는 돌아가신 조상에게 음식을 바치며 추모하는 의식으로 한국과 중국을 포함해 여러 나라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다. 제사의 유래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재밌는

jadewolves.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