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청랑 교육 식견91

봄과 가을은 인류를 발전시킨다 온도에 따른 성과의 차이계절에 상관없이 업무 효율이 가장 높은 사무실 온도는 섭씨 21도로 알려져 있다. 이 온도는 1960년대 미국에서 체중 70㎏의 40세 성인 남성의 대사율(신체의 에너지 사용률)과 피부 두께, 체내 열 생산도 등을 고려해 산출한 수치다. 섭씨 21도는 우리나라 봄과 가을의 온도다. 이 두 계절에는 기업의 생산성이 높다. 반면 겨울과 여름처럼 너무 춥거나 더워지면 업무 효율이 뚝 떨어지면서 생산성도 낮아진다. 천재들에게도 일반인처럼 온도에 따른 성과 차이가 있을까? 봄을 좋아하는 천재'미쳤거나 천재거나'의 저자 체자레 룸브로조는 천재들이 일반인들보다 온도에 더욱 민감하다고 지적한다. 유럽 지역 한정이어서 통계로 유추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천재들의 업적이 나오는 시기를 정리한.. 2023. 2. 26.
미래 교육 이렇게 바뀐다 미래 교육의 시작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는 삽시간에 전 세계를 강타했다. 수십억 명이 이 전염병에 걸렸고 수많은 환자가 한꺼번에 유명을 달리해야 했다. 전파 속도가 너무 빨라 나라마다 장기간 국경을 닫아야 했고, 세계 경제는 크게 휘청거렸다. 유사 이래 이런 거대한 팬데믹에 노출된 적이 없었던 인류 사회는 코로나 발생을 기점으로 ‘코로나 이전 세상’과 ‘코로나 이후 세상’으로 구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교육산업에도 코로나는 당연히 큰 영향을 주었다. 전통적으로 집합 장소(교실)에서 대면 수업 중심으로 꾸려져 온 공교육도 코로나에 직격탄을 맞았다. 선생님들만 학교에 출근했고, 학생들은 개인용 컴퓨터 속에서 선생님과 .. 2023. 2. 25.
AI 시대 꼭 필요한 교육은? 4차 산업혁명의 초입4차 산업이란 인공지능 AI와 로봇의 결합으로 사물을 자동적, 지능적으로 통합 및 제어를 할 수 있는 산업을 일컫는다. 필자는 며칠 전 모 업체에 전화 상담을 요청했는데 사람 대신 AI가 응대하는 경험을 했다. 약간의 어색함은 있었지만, 곧 익숙해져서 일 처리는 잘 되었다. 사람이 할 일을 점차 AI가 대체하고 있음을 절감한 순간이었다. 앞으로 많은 일자리가 AI 때문에 사라진다면 어떤 일을 찾아야 하고 어떤 교육을 받아야 할까. 미래에 없어지는 일자리전 세대가 함께 고민해야 할 점은 미래에 사라지는 일자리를 예측하고 대응해야 하는 것이다. 위의 표를 보면 특징이 존재한다. 예측할 수 있는 범주에서 일 처리가 가능한지 아닌지를 묻고 있다.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처리가 필요하지만, 인공.. 2023. 2. 12.
멀티태스킹, 무조건 좋은 걸까? 시간 아끼려다 소탐대실 우려요즘 사람들은 시간에 쫓기듯이 바쁘게 살아가고 있다. 운동하면서 영어 듣고 아침밥을 먹으면서 신문을 보는 것처럼 제한된 시간에 한꺼번에 여러 가지 일을 처리하려고 한다.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이란 하나의 컴퓨터가 여러 개의 작업을 동시에 하듯이 이것저것 업무를 함께 수행하는 것을 일컫는다. 멀티태스킹을 할 때 과연 뇌가 제대로 인식할까에 대한 궁금증을 낳게 한다. 멀티태스킹의 대표적 사례가 운전 중에 전화하는 것이다. 호주 시드니 대학 연구팀은 운전 중에 휴대전화를 사용할 때 교통사고를 낼 확률이 4배 이상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멀티태스킹 때문에 자칫 생명까지 잃을 수도 있다는 얘기다. 효율적인 업무 처리를 위해 멀티태스킹을 즐기다 목숨까지 잃는다면 소.. 2023. 2. 9.
'알파 수컷' 늑대의 리더십 '알파 수컷'의 대표적인 동물 늑대동물 무리의 리더를 흔히 ‘알파 수컷’이라 한다. 알파 수컷의 대표적인 동물로는 늑대가 있다. ‘늑대’는 동화 속에 다양한 소재로 많이 나온다. 동화 속에 늑대가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 고대부터 인류와 친숙한 야생동물이 늑대. 늑대는 북극을 중심으로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중앙아시아, 사막지대 등 다양한 지대에서 살아간다. 늑대 서식지는 산림과 초원지대이기 때문에 유목 생활을 하던 인류와 겹치는 경우가 많았다. 늑대가 두려움의 대상이 된 이유는 인간이나 가축을 잡아먹었기 때문이다. 그렇다 보니 야생동물 중 가장 많은 연구가 이뤄진 것도 늑대이다. 그렇다면 늑대를 통해서 인간은 어떤 도움을 받았는지 역사 속에서 살펴보자.늑대 사냥법 전투에 적용한 칭기즈칸몽골에 태어나 인류.. 2023. 2. 9.
공부의 첫걸음은 이것부터 국어는 배움의 기초 작업시대가 아무리 변해도 부모들의 자식 교육에 대한 열정은 뜨겁다. 특히 요즘 젊은 세대 부모들의 자식 공부 걱정은 태산보다 더 높은 듯하다. 태어나지도 않은 아기를 위한 태아 교육 동화책이 나오고 있으니 말이다. 그런데 아이 교육에 있어서 가장 주안점을 둬야 할 부분은 어떤 정보를 제대로 받아들이도록 하느냐와 또 그것을 어떻게 인식하도록 만드느냐를 꼽고 싶다. 정보 습득과 습득된 정보를 통해 인식의 과정을 가르치는 과목이 국어이다. 어떤 분야에 새롭게 도전할 때 국어의 기본이 탄탄하게 갖춰져 있다면 학습의 진행 속도는 한결 빨라질 것이다.수학의 성공 열쇠도 국어초등학교 때 곧잘 하던 수학을 중학교에 들어가서부터는 점점 어려워하다가 결국 흥미를 잃고 포기까지 하는 학생들을 많이 봐 왔.. 2023. 2.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