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청랑의 식견3292

최초의 사교육 기관과 스타 강사 입시 열풍에 태어난 스타 강사시대를 막론하고 자식 교육은 부모의 최대 관심사다. 고려 시대에 생긴 과거제도는 집안을 일으킬 기회로 등장했다. 지금은 명문대로 가는 것이 출세를 위한 보증수표처럼 여긴다. 자식을 좋은 대학에 보내려는 부모들의 욕심에 부응하기 위해 도시지역 곳곳에는 사설학원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났다. 또 방송뿐만 아니라 인터넷이나 유튜브 등 미디어의 발전으로 스타 강사들이 대거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최초의 사교육 기관과 스타 강사는 고려에서부터 시작하였다.최초의 사설학원은 최충의 '구재학당'고려 문종 때 최충(崔沖)이 벼슬에서 물러난 후 후진 양성을 위해 구재학당(九齋學堂)을 개설하였다. 당시 국학(國學)은 시설 면으로나 교육 면으로 유명무실했으므로 많은 과거 응시자가 이곳에 몰려들었다. 구.. 2023. 2. 23.
한마디면 충분하다 '한마디면 충분하다'를 읽고 정리한 내용을 공유합니다.이 책을 선택한 이유마케팅에 필요한 네이밍 아이디어 그리고 여러 기업이 했던 마케팅 사례 그리고 멘트까지 들어있는 책이라 생각해서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여러 기업의 사례들을 보고 참고하는데 적합한 책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책 소개01_ 작명상품명이 상품의 목숨이 달려있다. 효능까지 탈바꿈시킬수 있는게 작명 센스이다. 회사가 하는 일과 이름이 일치하게 하라. 무조건 쉽게 기억나도록 만들어라. 상품 이름에는 감정이 담겨 있어야 한다. 느낌을 극대화 시켜라. 이름을 잘 지으면 그것이 톡톡히 효자 노릇을 한다.02_ 컨셉부여스위스는 알프스의 10분의 1정도만 소유하고 있지만 다른나라 비해 알프스를 컨셉화 시켜 알프스 하면 스위스 스위스 하면 알프스가 생각나도.. 2023. 2. 22.
정주영의 자녀 교육법 불굴의 노력으로 현대그룹 일군 정주영'해보긴 해봤어?'라는 유명한 말로 한국 창업가들에게 희망의 불씨를 안긴 현대 그룹 창업주 정주영 회장. 그가 사업을 시작했던 초기는 일제 강점기를 벗어나 6.25 전쟁까지 고난과 역경의 연속이었다. 정주영 회장은 현대그룹을 세우기까지 몇 번의 사업 실패를 맛보았다. 그러나 그의 포기하지 않는 불굴의 정신이 현대그룹을 일궈냈다. 정주영 회장의 학력은 초졸이지만 그의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은 ‘가방끈 길이’를 중시하는 요즘 창업주들의 말을 무색하게 만든다. 학교에서의 배움은 짧았으나 현대그룹을 우뚝 세운 정주영 회장은 자녀들을 어떻게 교육했을까. 아침 식사로 자녀 생활 습관 잡아'일근천하무난사(一勤天下無難事)', 즉 '한결같이 부지런하면 천하에 어려운 일이 없다'란 뜻이다.. 2023. 2. 22.
'고려의 이순신' 최무선 과학자이자 무인인 최무선고려(高麗)는 본디 해상력이 강한 국가였다. 태조 왕건(王建)이 해군 활동을 통해서 고려를 세웠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고려가 조선술과 해상무역에서 탁월했다는 사실은 지금 한국의 명칭만 보아도 알 수 있다. 'KOREA'는 ‘고려’에서 온 말이기 때문이다. 이집트까지도 교류했던 고려. 해상 강국의 위풍당당함은 몽골이 세운 원(元)나라에 항복하면서 무너지게 된다. 고려 말기 전국에 왜적이 들끓어 수도까지 위태로울 정도였다. 전란 속에 영웅이 나오듯 최영(崔瑩), 최무선(崔茂宣), 이성계(李成桂) 등 특출 난 무인들이 왜적의 침략을 막았다. 최무선은 최초로 화약을 만든 인물로만 알려졌지만, 면면을 살펴보면 과학자이자 무인이었다. 그는 진포대첩에서 조선의 이순신처럼 5배나 넘는 왜군의 .. 2023. 2. 22.
구글의 아침은 자유가 시작된다 '구글의 아침은 자유가 시작된다'를 읽고 정리한 내용을 공유합니다.이 책을 선택한 이유구글의 근무 환경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한국 회사의 근무 환경과는 과연 무엇이 다른 것인가 궁금하기도 하고 구글의 환경을 참고하면 사람 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해서 읽게 된 책입니다. 책 소개구글의 핵심 문화 3가지 사람은 누구나 마음속으로 자기가 하는 일에 의미를 찾고자 한다. 개방과 공개는 그들을 신뢰한다고 공표하는 일이다. 직원의 목소리를 끌어내는 것이 정확한 판단과 조직 효율성에 핵심 요인이다. 집단의 문화를 파악하려면 물리적 공간, 행동 등을 살피자. 집단 구성원의 믿음이나 가치관 조사하고 가치관 뒤에 숨어있는 가정을 파헤쳐보자. 인간이기 때문에 실수를 하지만, 그것은 자유의 가치를 훼.. 2023. 2. 21.
한반도에 원숭이가 살았다? 다양한 동물이 살았던 고대 한반도70만 년 전 한반도에는 다양한 생물들이 살았다. 아프리카에서나 볼 법한 큰 원숭이, 하이에나, 코뿔소, 코끼리 등 다양한 동물의 뼈가 충북 청주시 두루봉 동굴에서 발견되었다. 한반도에 다양한 포유류가 살았다고 하니 지금으로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다. 특히 코끼리나 코뿔소가 아프리카에서만 서식한다고 알고 있지만 한반도에서 무리를 이뤄 살았다는 사실은 놀랍기만 하다. 기후 변화로 다양한 동물들이 한반도에서 멸종되거나 서식지를 옮겨갔다. 그중에서도 원숭이가 한반도에 있었다는 역사적 사실을 과학적으로 살펴보자.역사 기록서에 등장하는 원숭이일연(一然)스님이 쓴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따르면 신라 법흥왕 시절 불교를 국교로 받아들이는 데 있어 구세력과의 대립이 있었다. 불교를 적극.. 2023. 2.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