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청랑 이슈 식견237 약소국이 강대국 사이에서 살아남으려면? 중립 지키기 힘든 상황의 한국한국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 중립적인 자세를 보였다. 그러나 최근 한국 정부는 미국 정부의 대러시아 정책에 따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민간인을 대량 학살한다면 우크라이나에 무기 지원의 가능성을 시사했다. 세계 패권 다툼을 미국과 유럽이 연합하여 러시아, 중국에 대항하는 모양새가 되었다. 한국은 제3국으로 중립을 지키며 실리를 도모하면 좋겠지만 정치적 판단이 여의찮은 모양새다. 한국 정부와 비슷한 처지에 있었던 과거 사건들을 살펴보자. 명나라 청나라 사이 중립 외교 펼친 광해군조선과 명나라는 임진왜란(壬辰倭亂)으로 많은 국력을 소비하게 되었다. 그 사이 여진족은 누르하치를 중심으로 흩어진 부족을 통합하며 세력을 키워 청나라를 세웠다. 요동반도까지 세력을 넓힌 청나라는 명나.. 2023. 4. 24. 한국이 무기 수출국이 된 비결은? 무기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바뀐 한국전쟁으로 폐허가 되었던 한국은 세계적인 군사 강국으로 우뚝 서게 되었다. 과거 미국에 무기를 수입하던 국가에서 이제는 한국에서 개발한 신무기를 전 세계적으로 수출하는 국가로 바뀌었다. 뛰어난 기술력을 인정받아 다른 나라들은 한국이 개발한 신무기에 관심을 가진다. 한반도의 과거 고대국가에서부터 다양하게 개발된 신무기를 살펴보자. 당나라가 탐낸 신라 쇠뇌 기술나당 연합군이 고구려와 백제를 멸망시킨 후 신라와 당나라는 영토를 나누는데 큰 이견을 보이며 사이가 나빠졌다. 결국 두 나라는 전쟁을 준비하려고 했다. 당나라는 당시 신라의 쇠뇌가 1000보나 날아가는 것을 알고 쇠뇌 기술자 구진천(仇珍川)을 자국으로 데려갔다. 당나라 황제는 구진천에게 쇠뇌를 만들어 보라고 하였.. 2023. 4. 23. 전투식량에서 유래된 세계적인 음식은? 몽골군만의 특이점 세계 최강의 군대라 불렸던 몽골군에게는 그 어떤 군대에서도 찾을 수 없는 특이한 점이 하나 있었다. 바로 보급부대가 없었다는 것이다. 군사들은 자기 식량을 스스로 챙겨야 했다. 그래서 몽골군은 정복 전쟁을 단기간에 수행할 수 있었다. 몽골군으로부터 유래된 음식은 현재에도 인기를 끌고 있다. 몽골군의 전투 식량 중에 세계적으로 히트 친 음식들을 살펴보자. 최고의 전투 식량 육포 육포의 유래를 몽골군에게서 찾는 것은 무리가 있다. 한국 고대 삼국 시대에도 육포에 관한 내용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육포를 알린 이들은 몽골군이라 봐야 한다. 몽골군은 풀이 자라지 않는 겨울에 소를 잡아 고기를 얇게 썰어 거주하는 게르 천장에 걸어두었다. 몽골은 날씨가 차고 건조하여 고기를 말리기에 .. 2023. 4. 22. 무엇이 왕건과 궁예의 운명을 엇갈리게 만들었나? 살기 좋은 자리 찾는 풍수지리집을 짓거나 묘를 쓸 때 풍수지리를 살피는 경우가 현대에도 종종 있다. 풍수지리(風水地理)란 땅의 지형을 통해 음양오행(陰陽五行)에 맞춰 사람이 살기 좋은 자리를 찾는 것을 일컫는다. 풍수지리가 과학적인 검증이 없기에 미신이라고 하지만 동양은 음양오행 사상을 고대부터 중요시했고 그 문화권을 벗어나는 것은 쉽지 않다. 심지어 아파트를 살 때도 풍수지리를 살피며 집을 사는 사람들이 있다. 과거 풍수지리를 무시하고 집을 지어 희비가 엇갈렸던 두 왕의 이야기를 살펴보자. 도선 대사 조언 따라 집 지은 왕륭왕륭(王隆)은 고려를 세운 태조 왕건(王建)의 아버지다. 어느 날 왕륭이 송악(개성)에 집을 짓고 있었다. 한 명의 스님이 그곳을 지나가며 "기장을 심어야 할 곳에 어찌 삼을 심었.. 2023. 4. 20. 무역은 두 개의 얼굴을 가지고 있다 자원이 무기가 되다 자국에서 생산하는 제품이 상대국보다 저렴할 때 물건을 서로 교환하는 게 무역이다. 그러나 대량의 자원을 가진 한쪽이 무역을 단절하게 되면 상대국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은 커지게 된다. 대표적인 예를 들어보자. 한국에서는 마스크 생산에 경제적 이점이 없어 대부분을 중국 수입에 의존하고 있었다. 하지만 코로나 발생 이후 한국은 마스크가 일상생활에 필수품이 되었다. 코로나 발생으로 중국에서도 마스크 품귀 현상이 일어나자 마스크 수출을 즉각 멈추었다. 그러자 한국에서 마스크 가격이 몇 배로 치솟기도 하였다. 이처럼 자국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무기로 삼아 피 한 방울 흘리지 않고 대립하는 국가를 혼란에 빠뜨리거나 승리했던 사례를 살펴보도록 하자. 방직물로 두 나라를 제압하다 중국의 춘추전국시대(春.. 2023. 4. 17. 제국의 발전이 지구에 미친 영향은? 인간이 만든 지구의 빠른 사막화한국은 봄철만 되면 고비사막에서 불어온 모래바람이 푸른 하늘을 덮는다. 게다가 중국의 화북 지방이 공업도시로 발전하면서 공해물질이 모래와 섞여 한국으로 넘어온다. 유해 물질이 폐로 들어가면, 폐를 망가뜨릴 수 있어 황사의 심각성이 점점 대두되고 있다. 몽골의 사막이 빠르게 사막화된 이유는 자연적 현상도 있지만 인간에 의해서 만들어진 과정도 있다. 지구의 사막화를 가속시킨 대제국들을 알아보자.나무가 사라진 사하라, 사막 되다사하라 사막은 북아프리카에 자리하고 있다. 과거 사하라는 물과 나무가 풍부한 지역이었다. 그래서 사하라 사막에서 발견되는 뼈 중에는 물고기 뼈가 많다. 특히 생선 뼈는 도구에 의해서 절단된 흔적이 많은데 과거 그 지역에 살던 사람들이 물고기를 주식으로 했다.. 2023. 4. 16. 이전 1 ··· 26 27 28 29 30 31 32 ··· 4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