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청랑 이슈 식견237 직업 선택하기 전 꼭 알아야 할 것은? 시대별 인기 직종에 따라 선호 학과도 달라져필자가 공대생으로서 경험한 것은 시대별로 공대의 인기 학과가 달라졌다는 점이다. 2000년대 이전만 해도 기계과가 취업이 잘되어 인기가 좋았고 선호 학과였다. 그러나 2000년대 중반부터 핸드폰 시장의 성장과 전자제품의 디지털화가 가속되며 전기·전자학과의 인기가 공대에서 으뜸이었다. 최근에는 컴퓨터 언어인 코딩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문과에서도 선택할 정도로 코딩을 가르치는 컴퓨터 학과의 선호도가 가장 큰 편이다. 이처럼 시대에 따라 인기 직종이 변하면 선호하는 학과 선택도 변화한다. 과거 그 사례를 살펴보자. 인구감소로 교대 위상 예전만 못해2000년대만 하여도 교대의 인기가 대단했다. 안정적이고 사회적 지위나 학력으로만 봐도 손색이 없는 직업이었기 때문이다. .. 2023. 4. 13. 과거 가장 중요했던 식량은? 국가가 관리하던 쌀 생산한국은 일제 강점기를 벗어나 빠르게 산업화되기 시작했다. 농경을 중시하던 문화에서 산업화가 가속되며 농촌의 젊은 청년들은 도시로 일자리를 찾아서 모이기 시작했다. 최근 양곡법에 관한 정부 이슈가 터지면서 쌀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졌다. 나라에서 생산하는 쌀은 과거 국가가 관리했지만 글로벌 시대로 변화하고 쌀 소비량이 줄어들면서 이제 국가의 책임이 꼭 필요한지 궁금해지는 시대가 되었다. 과거 쌀은 국가에 어떤 의미였는지 역사를 통해 살펴보자.전략적 요충지 한강 차지 위한 삼국의 경쟁고구려, 백제, 신라 세 나라가 한강을 차지하기 위해 치열하게 싸울 때가 있었다. 시대별로 보면 한강을 차지했던 시기가 각국이 최전성기였던 사실을 알 수 있다. 한강이 중요했던 이유는 물자 수송이 편한.. 2023. 4. 12. 정치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시대 변화 따라 달라지는 정치 관심도동서고금을 살펴보면 현대 국가의 면모를 갖추는 과정에서 많은 사건이 있었다. 과거에는 특정 남성들만이 정치에 참여했으나 모든 남성에게 선거권이 부여되었고 훗날 여성들에게도 선거권이 부여되었다. 남녀평등을 외친 지 얼마 되지 않아 이번에는 인종차별에 대한 거센 비판으로 인간의 존엄성을 중요시했다. 모든 인종은 평등하다는 근대 국가의 민주주의 체계가 자리를 잡는다. 과거와 달리 제대로 국가를 관리하는지 감시하는 사람들이 필요해졌고 서민들에게도 정치에 관심을 두고 참여할 것을 종용하고 있다. 과거와 현재의 일반 소시민들의 정치 관심도가 어떠했는지 살펴보자.정치에 관심을 가질 필요 없게 정사 펼친 요임금 고복격양(鼓腹擊壤)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다. 매우 살기 좋은 시절을 빗대어.. 2023. 4. 10. 대제국 이룬 마케도니아와 로마의 공통점은? 광물자원 취득, 대박 기회로 이어지기도포스코는 전기차 배터리 핵심 광물인 리튬 개발에 뛰어들었다. 아르헨티나의 리튬 염호를 호주기업으로부터 매입했는데 실제 리튬 매장량은 인수 당시 추산한 양보다 6배나 많았고 추산 가치도 35조에 육박했다. 리튬을 이용하여 앞으로 전기차 수요 증가로 포스코의 이익도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광물 자원하나를 취득한 것만으로도 기업 가치가 높아지는 시대다. 과거 금과 은이 나오는 광산을 손에 쥐면서 위대한 국가로 성장한 사례를 살펴보자. 대제국의 기반이 된 판가이온 금광동서양을 정복하며 헬레니즘 문명을 열었던 알렉산더 대왕(Alexandros the Great)의 아버지 필리포스 2세(Philippos II)는 그리스 국가들을 억압하던 페르시아가 위축된 틈을 타 트라키.. 2023. 4. 8. 인류가 금을 귀하게 여긴 이유는? 화폐가치 보증하는 금본위 제도인플레이션이 지속되면서 세계 경제는 몸살을 앓고 있다. 투자자들은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하자 안전자산인 금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면서 금값이 상승하고 있다. 이처럼 금은 인류에게 값비싼 자산으로 여겨졌다. 한때 세상에서 가장 많은 금을 가지고 있던 영국은 금본위 제도를 통해 영국의 화폐가치를 보증하도록 했다. 지금도 각국 중앙은행들은 자국의 화폐가치를 보증하기 위해 일정 부분 금을 가지고 있다. 인류가 금을 애지중지하게 된 이유를 살펴보도록 하자.특별한 매력을 발산한 금문명이 발전하면서 인류는 다양한 금속들을 발견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으로 인류가 제련하여 사용한 금속은 구리와 철이다. 두 금속의 특징은 산소와 만나게 되면 급격한 산화 현상을 겪게 되어 녹이 슬고 본연의 색을.. 2023. 4. 7. 잃어버린 한국 영토는 어디? 과거와 현재 모두 영토 분쟁국인 한국한국의 영토 분쟁하면 독도를 빼놓을 수 없다. 특히 일본은 초등학교 교과서에 "독도는 일본의 고유 영토"라고 명기하며 최근 한국을 자극하기도 했다. 이처럼 각국은 영토분쟁을 통해 총성 없는 싸움을 하고 있다. 자원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영토에 대한 고찰이 이뤄졌고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은 영토 분쟁으로 속앓이 중 이다. 현대뿐만 아니라 과거 조선도 영토 분쟁으로 골치 아팠는데 그 역사를 살펴보자.조선과 청나라의 엇갈린 백두산정계비 해석백두산정계비(白頭山定界碑)는 1712년 백두산에 세운 비석으로 조선과 청의 국경선을 표시한 경계비이다. 비문에는 ‘서쪽의 압록과 동쪽의 토문을 분수령으로 삼는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훗날 러시아와 일본의 제국주의가 노골화되면서 청나라.. 2023. 4. 2.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 40 다음 반응형